김천시 보건소(소장 손태옥)는 지난29일 대구시에서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예방수칙 준수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. 이 환자는 발열 증상과 의식 저하 등으로 입원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고 고령의 나이에 일본뇌염 예방 접종력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.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99% 이상이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서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 중 20~30%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. 최근 5년간 일본뇌염 감시결과 일본뇌염 환자의 90% 이상이 40세 이상으로 나타나 이 연령층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하는 것이 중요하다. 따라서 논 또는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성인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다면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장한다. 국가예방접종 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하도록 국가에서 확인사업을 하고 있다.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의 개체 수는 8월 이후로 증가하여 9월부터 11월에 전체 환자의 90% 이상이 발생한다고 한다. 이에 시민들에게 야외활동과 가정에서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.<모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국민행동수칙> ○ 첫째, 집 주변 고여있는 물 없애기 ○ 둘째, 짙은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 ○ 셋째, 야외활동 시 밝은 색의 긴 옷 착용 ○ 넷째, 모기퇴치제 올바르게 사용하기 ○ 다섯째, 과도한 음주 자제하기 ○ 여섯째, 야외활동 후 반드시 샤워하고 땀 제거 ○ 일곱째, 잠들기 전, 집안 점검하기 - 모기살충제, 모기향 등 사용 후 반드시 환기 - 구멍난 방충망 확인 및 모기장 사용